반응형
요약: 심박 구간·오토랩·페이스를 3분 안에 맞추는 체크리스트입니다. 아래 순서만 따라 하면 기록 품질이 확 좋아집니다.
기종에 상관없는 공통 세팅 기준이며, 화면 캡처 없이 핵심만 정리했습니다.
왜 이 세팅이 필요한가?
- 데이터 해석 가능성↑ — 심박/랩/페이스가 맞물려야 피크·정체를 찾을 수 있습니다.
- 체류시간·회람↑ — 실행 가능한 체크리스트형 글은 저장/공유율이 높습니다.
- 광고 친화성↑ — 이미지 없이도 표·FAQ로 충분히 읽혀 로딩이 가볍습니다.
3분 퀵 스타트(기종 공통)
- 프로필 갱신: 앱(헬스/피트니스/커넥트)에서 키·몸무게·최대심박(추정값)을 업데이트.
- 심박 구간 자동/수동 확인: 자동 산출이 어긋나면 구간 경계치를 직접 입력(Z1~Z5).
- 오토랩·진동 알림 ON: 달리기 1km(또는 0.5mi)마다 구간 끊기, 심박/페이스 알림 활성화.
* 메뉴 이름은 기종마다 다르지만, 위 3가지만 맞추면 기록 품질이 확 달라집니다.
목표별 권장 세팅표(공통 가이드)
목표 | 화면(데이터필드) | 알림 | 랩/기록 |
---|---|---|---|
달리기 페이스 만들기 | 현재 페이스, 랩 페이스, 거리, 심박(구간) | 심박 상한/하한, 랩 진동, 목표 페이스 범위 | 오토랩 1km, 코스 변경 시 수동 랩 버튼 |
인터벌 트레이닝 | 랩 타임, 랩 거리, 심박, 회복 타이머 | 구간 시작/끝 진동, 심박 상한 | 커스텀 워크아웃: 고강도/회복 반복, 마지막에 쿨다운 랩 |
장거리 완주 | 누적 시간, 평균 페이스, 심박, 영양 타이머 | 연료(젤/수분) 리마인더, 배터리 세이브 | 오토랩 1~2km, 코스 체크포인트 수동 랩 |
웨이트/크로스 트레이닝 | 세트 타이머, 심박, 칼로리(참고), 휴식 타이머 | 세트 종료/휴식 종료 진동 | 세트 수동 랩(버튼)으로 운동·휴식 구분 |
기종별 체크리스트(메뉴 명은 달라도 흐름은 같음)
애플워치(Apple Watch)
- iPhone 헬스/피트니스 앱 → 프로필 최신화(키·몸무게·생년)
- 워크아웃 뷰 사용자화: 현재 페이스/랩 페이스/거리/심박(구간) 추가
- 알림: 심박 상·하한 알림, 페이스 범위 알림(지원 모델)
- 오토랩(지원되는 앱 사용 시): 1km / 실내 트랙은 수동 랩
- 배터리: 저전력 모드 + GPS 정확도 균형 설정
가민(Garmin)
- Garmin Connect → 사용자 정보 최신화, 최대심박 확인
- 데이터 화면 편집: 심박(구간), 현재/랩 페이스, 거리
- 경고: 심박 상·하한, 페이스 범위, 영양 리마인더
- 오토랩 1km, 코스 구간은 수동 랩도 병행
- 활동 프로필 복사: 러닝/인터벌/트레드밀 용 별도 저장
갤럭시워치(Samsung)
- Samsung Health → 프로필 최신화, 심박 측정 연속 또는 운동 중 우선
- 운동 화면 커스텀: 페이스/거리/심박(구간) 배치
- 알림: 페이스/심박 범위, 자동 일시정지
- 오토랩 지원 앱 사용 또는 수동 랩 버튼 습관화
- 배터리: 화면 밝기·AOD 최적화
데이터 해석 핵심(한 줄 요약)
- 심박 구간: Z2는 회복·기초체력, Z3는 유산소 효율, Z4는 속도 지표, Z5는 피크 체크.
- 랩 페이스: “방금 1km”의 실력. 평균 페이스보다 변화에 주목.
- 페이스·심박 합치기: 페이스는 같은데 심박이 오른다 → 피로/수분/온도 이슈.
기록 루틴(저장/공유에 강한 포맷)
- 활동 전: 프로필·구간·알림 확인(30초)
- 활동 중: 1km마다 짧게 화면 확인(페이스/심박)
- 활동 후: 랩 차트 스크롤 → 가장 느린/빠른 랩 이유 1줄 메모
- 주간: Z2 비중·평균 페이스·최장 거리만 표로 기록
주차 | Z2 비중 | 최장 거리 | 평균 페이스 | 메모(느린/빠른 랩 이유) |
---|---|---|---|---|
1주 | __% | __ km | __’__”/km | 예: 더위/수면 부족 |
2주 | __% | __ km | __’__”/km | 예: 코스 오르막 |
3주 | __% | __ km | __’__”/km | 예: 컨디션 호전 |
4주 | __% | __ km | __’__”/km | 예: 수분/영양 적절 |
함께 보면 좋은 글(내부링크)
부위별 통증 예방 운동 TOP 5 (어깨, 허리, 무릎, 손목, 목)
부위별 통증 예방 운동 TOP 5 (어깨, 허리, 무릎, 손목, 목)
운동을 꾸준히 하다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쯤 겪게 되는 문제는 바로 특정 부위의 반복적인 통증이다. 어깨가 찌릿하거나 허리가 뻐근하고,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손목이 꺾이는 듯한 통
jinworkout.com
FAQ
Q1. 앱/메뉴가 글과 달라요.
제조사마다 명칭은 다릅니다. 프로필 → 심박구간 → 오토랩/알림 순서만 맞추세요.
Q2. 최대심박을 모르면요?
220-나이 등 추정값은 참고용입니다. 기록이 쌓이면 자동 보정되니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.
Q3. 페이스가 같은데 심박이 계속 올라요.
환경(온도/습도), 수분/영양, 피로 누적을 점검하고 다음 활동에서 페이스를 낮추거나 Z2 비중을 늘려보세요.
반응형